60년 만에 풀린 이론··· 세계 최초 1차원 양자 금속 구현 (25.02.04)
Epitaxially defined Luttinger liquid on a MoS2 bicrystal , Physical Reviews Letters (2025)
2037년 기술 전망치 넘어선, 차세대 극소형 반도체 소자 구현 (24.07.03)
Integrated 1D epitaxial mirror twin boundaries for ultra-scaled 2D MoS2 field-effect transistors, Nature Nanotechnology (2024)
양자물질의 세계에선 신비한 현상이 일어난다 (24.06)
알파세대를 위한 다시쓰는 과학교과서 (2024)
The future of new materials at POSTECH (22.05.13)
Postech Advertorial
IBS, 에피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 출범 (22.02.11)
2차원 소재 차곡차곡 쌓아 새로운 인공 물질을 자유자재로 디자인한다 (21.07.19)
Heteroepitaxial van der Waals semiconductor superlattices, Nature Nanotechnology (2021)
원자 두께‘멤브레인 반도체’세계 최초로 3차원 구현 (19.07.28)
Atomically Thin Three-Dimensional Membranes of van der Waals Semiconductors by Wafer-Scale Growth, Science Advances (2019)
빛으로 2차원 반도체 전도도 10만 배 높여 (18.09.14)
Writing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s on a two-dimensional semiconductor with a scanning light probe, Nature Electronics (2018)
반도체-금속 성질 자유자재로 제어해 고성능 2차원 반도체 만든다 (17.09.19)
Coplanar semiconductor-metal circuitry defined on few-layer MoTe2 via polymorphic heteroepitaxy, Nature Nanotechnology (2017)